국토교통부가 국민 대중교통비 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혁신적인 대책으로, 대중교통비의 20~53%를 절감할 수 있는 'K-패스' 사업을 오는 5월부터 본격 시행합니다.
K-패스 소개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는 교통카드입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와는 달리, 도보, 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따른 마일리지 기록이 필요 없이 이동거리와 무관하게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하므로 훨씬 편리합니다.
환급 비율 및 혜택
K-패스를 통해 대중교통비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일반인 20% ▲만19~34세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의 대중교통비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월 평균 7만 원을 대중교통비로 사용하는 경우, 일반인은 1.4만 원, 청년은 2.1만 원, 저소득층은 3.7만 원을 절감할 수 있어 가계 부담을 크게 경감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용 및 전환
이미 알뜰교통카드를 사용 중인 이용자들은 K-패스로 회원 전환 후, 기존 교통카드를 통해 K-패스 혜택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신규 가입자들은 5월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카드사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선택하여 K-패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조기 시행 및 최소 이용횟수 조건 변경
원래 7월부터 시행 예정이었던 K-패스는 국민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5월부터 조기 시행되며, 최소 이용횟수 조건도 월 21회에서 15회로 줄여, 더욱 많은 이용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지역 확대 및 GTX-A 등 대형 교통 수단 포함
현재는 주요 지자체 176개가 참여하고 있는 K-패스 프로그램에 5월부터는 동해, 삼척, 태백, 횡성, 영월, 음성, 진천, 보은, 영동, 증평, 괴산, 단양, 장성 등 13개 지자체가 합류하여 국내 전 지역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합니다. 뿐만 아니라, 일반 시내버스나 지하철이 아닌 GTX-A, 광역버스 등을 이용해도 K-패스 혜택을 적용하여 장거리 출퇴근 비용 부담을 완화할 예정입니다.
원활한 시행을 위한 사업 준비
국토교통부는 지자체, 카드사 등과의 협의를 통해 원활한 시행을 위한 준비과정을 철저히 거친 끝에, 5월에 K-패스를 차질없이 출시할 예정이며, 시스템 및 앱 개발 등 모든 절차를 빈틈없이 이행할 것입니다.
이로써 국민들은 더 이상 대중교통비 부담으로 고민하지 않아도 되며, 편리하고 경제적인 교통 이용이 가능한 'K-패스'가 그들의 삶에 새로운 편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토교통부의 이번 노력이 국민들에게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생활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derstanding Signals Sent by Cancer. (21) | 2024.01.21 |
---|---|
나이가 들면 목소리도 변화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42) | 2024.01.21 |
Understanding Colon Diverticula: Definition and Causes. (29) | 2024.01.21 |
Understanding the Essential Denture Care Practices, Just Like Taking Care of Your Own Teeth. (26) | 2024.01.21 |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Regularly Changing Towels Used Alone. (28) | 2024.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