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야독170 오늘의 사자성어, '견리사의'에 대해 알아보자. 견리사의(見利思義)의 의미와 유래견리사의(見利思義)는 "이익을 보면 의로움을 생각한다"는 뜻으로, 이익을 추구하기 전에 그것이 도덕적이고 의로운지 먼저 고민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윤리적 판단의 기준을 제시하는 사자성어로, 현대 사회에서도 매우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집니다.어원과 한자 풀이見(견): 보다利(리): 이익思(사): 생각하다義(의): 의로움, 도덕이 말은 고대 중국의 철학자 공자의 《논어(論語)》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이익을 보면 의로움을 생각해야 한다(見利思義)"고 강조하며, 개인과 사회가 추구해야 할 올바른 가치관을 제시했습니다. 견리사의의 철학적 배경견리사의는 유가(儒家) 사상의 핵심 가치인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중에서 특히 **의(義)**를 강.. 2025. 1. 6. 오늘의 사자성어, '고량진미'에 대해 알아보자. 고량진미의 의미와 어원고량진미(高糧甜味)는 "고급스러운 곡식과 진귀한 맛"이라는 뜻으로, 최고의 맛을 가진 진귀하고 귀한 음식을 가리킨다. 이 사자성어는 풍요로운 식생활과 맛의 극치를 상징하며, 단순히 음식을 넘어 부와 권력, 삶의 여유로움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많다. 고량진미는 물질적 풍요와 미식에 대한 찬양을 나타내는 동시에 때로는 과도한 사치와 탐욕을 경계하는 의미로도 쓰인다. 이 표현은 중국 고대 문헌에서 비롯되었으며, 이후 동아시아 문화권 전반에서 다양한 맥락으로 사용되었다. 고량진미의 유래고량진미는 주로 고대 중국의 궁중 연회나 귀족들의 식탁에서 비롯된 표현이다. 특히 사치스러운 음식을 풍자하거나, 부유한 삶을 찬미하는 문학적, 철학적 작품에서 종종 언급되었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문.. 2025. 1. 6. 오늘의 사자성어, '계명구도'에 대해 알아보자. 계명구도의 의미와 어원계명구도(鼻鳴狗盜)는 "닭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는 자와 개처럼 도둑질을 잘하는 자"를 가리키며, 본래는 하찮은 재주를 가진 사람을 비하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점차 상황에 따라 비범한 재능이나 처세술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며, 오늘날에는 작은 재주나 교활한 방법으로 큰 성과를 이루는 사람이나 권모술수에 능한 자를 의미한다. 이 사자성어는 고대 중국 역사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로 비상한 지혜나 상황 적응 능력을 높이 평가하거나 반대로 교활함을 경계하는 맥락에서 언급된다. 계명구도의 유래계명구도의 유래는 중국 전국시대의 책 《전국책(戰國策)》 중 《제책(齊策)》에서 비롯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영웅 손숙오(孫叔敖)는 제나라의 인재를 초청하여 조언을 구.. 2025. 1. 5. 오늘의 사자성어, '경천동지'에 대해 알아보자. 경천동지의 의미와 어원경천동지(慶天動地)는 "하늘을 경축하게 하고 땅을 움직인다"는 뜻으로, 세상을 놀라게 할 만큼 매우 놀랍고도 충격적인 사건이나 일을 가리킨다. 이 표현은 극도로 중대한 변화나 사건, 또는 감동적인 행위를 설명할 때 사용되며, 그 파급 효과가 하늘과 땅까지 진동시킬 정도로 크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사자성어의 어원은 중국 고대 문헌과 사상에서 비롯되었으며, 인간의 행동이나 사건이 자연과 우주의 질서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중대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동양 철학의 천인합일 사상과도 연관이 깊다. 유래와 역사적 맥락경천동지라는 표현은 구체적인 고사보다는 문학적 비유와 철학적 논의 속에서 발전해 왔다. 특히, 고대 중국에서는 인간의 행위와 천지의 질서를 밀접히 연관 지어 생각.. 2025. 1. 5.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