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백서

차멀미 그만, 자동차 멀미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by OK2BU 2024. 4. 9.
반응형

봄이 찾아오면서 우리는 주말에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차를 타고 나들이를 즐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차 안에서의 멀미인데요, 신나는 마음으로 차에 올랐는데 원치 않는 현기증, 구역질, 두통에 시달리면 좋았던 기분이 싹 가라앉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를 유의해야 합니다.

 

드라이브스루 음식 피하기

최근 국내 각지에는 패스트푸드나 카페 브랜드의 드라이브스루 매장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차에 탑승한 채 메뉴를 시켜 바로 받아보는 방식인데, 이로 인해 차에서 음식을 먹으면 멀미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음식을 소화하기 위해 위장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위장이 민감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메스꺼움이나 구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차량의 움직임이 위장 활동에 영향을 미쳐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차 안에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가벼운 식사를 한 뒤에 차에 탑승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멀미 그만, 자동차 멀미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차 안에서의 멀미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승객에게도 불편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및 책 보지 않기

차 안에서 스마트폰이나 책을 보는 것은 멀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의 균형 감각은 주로 시각, 전정 감각, 체성 감각에서 옵니다. 시각적 자극을 받으면 뇌는 몸의 균형을 잡으라는 명령을 전달받게 됩니다. 따라서 차 안에서 스마트폰이나 책을 보는 경우, 눈은 정적인 것을 보고 있지만 차량의 움직임에 의해 몸은 격렬하게 움직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뇌는 혼란에 빠져 멀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 안에서는 주변을 바라보거나 차창을 통해 밖을 내다보는 것이 좋습니다.

 

깊게 숨쉬기

깊은 심호흡은 멀미를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심호흡은 몸을 이완시키고 진정시키는 부교감 신경계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는 멀미를 악화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깊게 숨을 들이마시면 혈중 산소포화도가 높아져 전반적인 신체 대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방법들로도 멀미를 완전히 예방할 수 없는 경우, 약물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멀미약은 구토나 속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신경을 억제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패치형 약물은 차를 타기 4시간 전에 붙이고, 경구약은 1시간 전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 안에서의 멀미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승객에게도 불편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팁들을 숙지하여 즐거운 드라이브를 즐기실 수 있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