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경야독289

오늘의 사자성어, '철중쟁쟁'에 대해 알아보자. 철중쟁쟁(鐵中錚錚)의 의미와 유래철중쟁쟁(鐵中錚錚)의 한자적 의미철중쟁쟁(鐵中錚錚)은 여러 개의 쇠 중에서도 특히 맑은 소리를 내는 쇠처럼, 같은 부류 속에서도 뛰어난 사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이다.철(鐵): 쇠중(中): ~중에서쟁쟁(錚錚): 금속이 부딪칠 때 나는 맑고 우렁찬 소리즉,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서도 특히 빛을 발하는 뛰어난 인재를 뜻하는 표현이다.철중쟁쟁의 유래철중쟁쟁은 중국 송나라 때 문학가 **소식(蘇軾)**의 시에서 유래되었다.소식(蘇軾)은 당나라의 시인 **두보(杜甫)**를 극찬하면서 그의 시문이 당대 문인들 중에서도 단연 돋보인다는 뜻으로 **“철중쟁쟁자 난위동야(鐵中錚錚者 難爲同也)”**라고 표현했다.이 말은 **"수많은 쇠들 중에서도 맑고 우렁찬 소리를 내는 것이 있듯이, 수많은 .. 2025. 3. 27.
오늘의 사자성어, '방휼지쟁'에 대해 알아보자. 방휼지쟁(蚌鷸之爭)의 의미와 유래방휼지쟁(蚌鷸之爭)의 한자적 의미방휼지쟁(蚌鷸之爭)은 두 세력이 격렬하게 다투는 동안, 제3자가 그 이득을 차지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이다.방(蚌): 조개휼(鷸): 도요새지(之): ~의쟁(爭): 다툼, 싸움즉, 조개와 도요새가 서로 싸우다가 결국 둘 다 지쳐버린 사이, 제3자가 등장해 둘을 모두 차지하는 상황을 뜻한다.방휼지쟁의 유래방휼지쟁은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 **《전국책(戰國策)》**에 기록된 이야기에서 유래했다.어느 날, 도요새(鷸)는 해변에서 조개(蚌)를 발견하고 먹으려고 했다. 도요새가 조개의 살을 쪼려 하자, 조개는 단단한 껍데기를 닫아 도요새의 부리를 물어버렸다.도요새는 “오늘 비가 오지 않으면 넌 말라 죽을 것이고, 나는 너를 먹게 될 것이다.”.. 2025. 3. 26.
오늘의 사자성어, '견토지쟁'에 대해 알아보자. 견토지쟁(犬兔之爭)의 의미와 유래견토지쟁(犬兔之爭)의 한자적 의미견토지쟁(犬兔之爭)은 ‘개(犬)와 토끼(兔)가 싸우다가(爭), 결국 제3자가 이득을 취하는 상황’을 뜻하는 사자성어다.견(犬): 개토(兔): 토끼지(之): ~의쟁(爭): 싸우다, 다투다즉, 두 세력이 격렬하게 싸우는 동안 제3자가 그 이익을 차지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이다. 현대적으로 보면 경쟁 관계에 있는 두 집단이 서로 싸우느라 힘을 소진한 사이, 제3자가 등장해 모든 이득을 독차지하는 경우에 해당한다.견토지쟁의 유래이 성어는 중국 고대 역사서 **《전국책(戰國策)》**에서 유래되었다.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다양한 전략과 외교 책략을 기록한 이 책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등장한다.전국 시대, 연(燕)나라가 조(趙)나라를 공격.. 2025. 3. 25.
오늘의 사자성어, '천선지전'에 대해 알아보자. 천선지전(天旋地轉)의 의미와 유래천선지전(天旋地轉)의 한자적 의미천선지전(天旋地轉)은 ‘하늘이 빙빙 돌고(天旋), 땅이 크게 뒤바뀐다(地轉)’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로, 세상이 크게 변하거나,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이다.천(天): 하늘, 또는 자연의 섭리를 의미선(旋): 회전하다, 빙빙 돌다지(地): 땅, 또는 인간 세계를 뜻함전(轉): 돌다, 변화하다즉, 천선지전은 세상의 질서가 급변하는 극적인 변화의 순간을 묘사하는 표현이다.천선지전의 유래와 역사적 사용천선지전은 주로 고대 중국 문헌에서 사용된 표현으로, 전란(戰亂)이나 혁명과 같은 극적인 변화의 상황을 설명할 때 등장했다.이 표현은 《후한서(後漢書)》, 《자치통감(資治通鑑)》 등의 역사서에서 왕조 교체기나 격변하는 사회 상황을.. 2025. 3. 24.